당신이 몰랐던 AddThis의 도움 되는 기능들
#AddThis #여러가지기능 #공유버튼 #그외에기능 #소확팁
*PC화면으로 보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1. 사이트에 공유버튼 만들기
제 이전 포스팅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내 포스팅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툴 AddThis 어렵지 않게 넣기
내 포스팅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툴 AddThis 어렵지 않게 넣기
내 포스팅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버튼 AddThis 어렵지 않게 넣기 #포스팅공유 #AddThis #소확팁 #간단 #초초보도가능 #널리널리퍼뜨리자 #html몰라도가능 안녕하세요? 오늘은 블로그 공유를 할 수 있��
somethingyouwouldlike.tistory.com
2. 위치 설정하기 (공유버튼이 사이드바와 겹칠 때 문제 해결방법)
처음에 공유버튼을 만들면 위 사진과 같이 공유버튼이 사이드바와 겹치게 나올 수 있는데요. 이럴 때는 AddThis 사이트에 들어가 위치를 수정할 수 있어요!
사이트에 들어가 로그인 후 상단에 있는 Tools를 눌러주세요. 앞으로 여기가 AddThis에서 만든 버튼을 관리하는 곳이니까 꼭 기억해두세요. 공유버튼을 만들고 나서 첫번째에 있는 툴의 Setting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러면 지난 포스팅에서 다른 SNS서비스를 넣을 때 나온 화면이 나오는데요. 이 화면도 나중에 많이 쓰일 화면이니 기억해두세요. 일단 위치를 바꿔야 하니까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눌러주세요.
현재 PC에서 보이는 위치는 왼쪽으로 설정되어 있으니 On Desktop (PC화면에서)를 눌러 Right(오른쪽)로 바꿔주면 돼요. 그리고 맨 하단에 있는 Update Tool (적용하기)를 눌러주세요.
그럼 이렇게 사이드바와 겹치지 않게 돼요! 이러면 조금 더 보기 좋죠?
꾸미기 설정
관리 화면에서 이 버튼을 눌러 꾸미기 설정을 할 수 있는데요. 꾸미기 용어들을 모두 번역해서 알려드릴 테니 꾸미기를 자유롭게 해보세요! 여기서 번역한 이외의 영단어를 모를 경우 이것저것 눌러보면서 본인의 취향에 맞는 것을 찾아보세요!
디자인
버튼
모바일 사이즈
모바일에서 보이는 크기를 정할 수 있어요. 모바일에서는 화면이 작다 보니까 버튼이 화면을 방해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중간(Medium) 크기를 추천해드릴게요.
버튼 색
버튼 색깔을 바꿀 수 있어요. 기본값, 하얀색, 검정색, 회색, 원하는 색으로 설정이 가능해요. 버튼 색은 구별이 가능해야 하니까 기본값으로 놔두는 것을 추천해드릴게요.
아이콘 색
테두리 안에 있는 아이콘 색을 바꿀 수 있어요. 이것도 기본값으로 추천해드릴게요. 그래야 구분이 잘 가요.
스타일
표준과 경계를 나눈 것으로 구별이 되요. 기본값은 구별이 잘 안 된다는 단점이 있어서 저는 경계가 진 것으로 추천해드릴게요.
스크롤 하시면 더 많은 꾸미기 정보가 나와요!
둥근 모서리
SNS 서비스의 모서리가 왼쪽으로 갈수록 네모네모해지고 오른쪽으로 가면 똥글똥글(?)해져요.ㅋㅋㅋㅋ 저는 너무 네모는 너무 딱딱하고 너무 동그라미는 눈에 띄지 않아서 딱 중간을 추천드립니다.
배경 색
배경색을 정할 수 있어요. 이것도 기본값을 추천드리는데 만약 블로그나 사이트에 다크모드를 적용중이시라면 배경 색을 검정색으로 하고 바로 뒤에 있는 카운터 색을 하얀색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드려요.
카운터 색
공유된 숫자 색을 고를 수 있어요. 이것도 기본값을 추천드리는데 만약 블로그나 사이트에 다크모드를 적용중이시라면 위에 있는 배경색을 검정색으로 하고 이 색을 하얀색으로 바꾸는 것을 추천드려요!
공유하기 이외의 다양한 버튼들
AddThis는 공유하기 버튼 이외에도 여러가지 버튼들을 제공하고 있어요. 그럼 차례대로 알려드릴게요.
(왼쪽부터 차례대로)
공유버튼
내 글을 외부로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팔로우버튼
사이트에 연결된 페이스북, 트위터가 있을 경우 팔로우할 수 있게 해줍니다.
관련 글 보여주는 버튼
포스팅과 관련된 글을 보여줍니다.
이메일로 구독하기 버튼
다른 사람이 내 사이트에 이메일을 입력하면 이메일로 사이트의 새 글 알림이 갑니다.
링크 광고 버튼
사이트에 있는 다른 글을 홍보합니다.
후원버튼
사이트에 후원하는 버튼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후원 사이트들이 외국 사이트라서 후원할 확률이 매우 낮네요.
적용하는 방식은 코드를 body 태그 위에 입력하는 것으로 지난 포스팅에서 말한 방법과 똑같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참고해주세요!
버튼 삭제하기
버튼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거나 사이트에 방해만 된다고 생각할 때 AddThis를 삭제할 수 있어요.
Tools에 들어가 저 초록색으로 켜져 있는 툴을 한 번 눌러서 꺼주세요. 그러면 버튼이 사이트 내에 사라지게 됩니다.
그럼 오늘의 소확팁은 여기까지에요! AddThis로 사이트를 만드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유익한 소확팁이 이어집니다. 다음 포스팅에서 또 봐요!
'소개해보기 > Webt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애드센스 콘텐츠 없음 해결방법 (0) | 2020.08.08 |
---|---|
무료 음원을 사용하기 전에 알아야 할 것들 (Feat. 라이선스) (0) | 2020.08.08 |
내 포스팅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툴 AddThis 어렵지 않게 넣기 (0) | 2020.07.14 |
카카오 애드핏 1차 탈락후기: 애드핏도 컨텐츠가 어느 정도 필요해요! (0) | 2020.06.15 |
애드센스 광고가 블로그 이미지를 해친다면 보세요! (0) | 2020.06.11 |